home

KPIs 관리

자, 이제 메뉴의 3번째 탭을 눌러볼까요? 3번째 탭은 KPIs 관리 입니다. 하트카운트에서 KPI는 '이번 분석에서 우리의 주요 비즈니스 지표인 변수'이라고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면, 어느 캠페인의 목표가 '매출 및 이익 최적화 규칙 찾기'라면, 해당 캠페인의 KPI는 매출이익이 되는 것이죠.
KPI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HEARTCOUNT 기능에서 분석할 수 있지만,
대시보드SMART DISCOVERY는 개별 KPI의 패턴을 자동으로 찾아 괄목할만한 분석 결과를 추천해주는 기능이기 때문에 KPI로 설정된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SMART DISCOVERY에 대해 알아보러가기
요인분석익스플레이너는 수치형 KPI와 다른 변수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설명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수치형 KPI가 등록되어 있어야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트카운트에서는 캠페인당 10개 이하의 KPI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앞서 업로드한 데이터의 모든 칼럼(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칼럼 중 우리가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칼럼을 KPI로 설정하고 변수도 직접 세팅할 수 있습니다.

1. KPI 등록

(1) 수치형 변수

먼저 수치형 변수를 KPI로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수치형 변수란 연속성을 띄는 숫자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말합니다. ex) 연령, 키, 소득 등 범주형 변수는 연속적이지 않은 값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말하며 몇 개의 동일한 성질을 갖는 부류나 범위로 나눌 수 있습니다. ex) 성별, 혈액형 등
수치형 변수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숫자(#)로 표시를 해주며, [KPI 유형](점수, 돈, 시간, 기타)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하단의 계산 방식을 평균 또는 총합 중 한가지(혹은 두 가지 모두)를 선택합니다.
단, [KPI 유형]은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일 뿐이며, 특정 유형 선택이 분석 결과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1-1. 파생 변수 설정하기

앞의 캠페인 생성에서 설명했지만, 하트카운트는 수치형 변수의 경우 자동으로 범주형 변수, 구간으로 쪼개는 binning 기능과 percentile로 가공하는 percentile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총 2개의 파생변수를 만들 수 있는데요.
파생변수 또한 각각 최대 4개까지 KPI로 설정 가능합니다.

(2) 범주형 변수

범주형 변수는 숫자가 아닌 KPI를 생성할 값(YES/NO, 남/여 등)으로 정의된 변수로 KPI는 변수 하나 당 최대 4개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KPI 설정이 끝났으면 이제 본격적으로 분석을 시작할 시간입니다.
좌측 메뉴의 KPIs 관리 아이콘 바로 밑의 대시보드 아이콘을 클릭하면, 내가 설정한 KPI를 대시보드에서 직접 확인하고 분석 기능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분석 도중에 자유롭게 KPI를 추가 및 삭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HEARTCOUNT의 놀라운 기능을 직접 체험해 보세요! https://www.heartcount.io/login?lang=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