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가이드
home
초심자 가이드
home

Data Literacy: 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보는 안목

The Origin of Writing: Pictograph(그림문자)

Literacy: 범주의 탄생

1930년 경에 중앙 아시아(우즈베키스탄과 키르키즈스탄)의 오지에서 문맹(illiterate)으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원과 사각형을 보여주었다. 원을 보고는 “접시, 양동이, 시계, 달"이라고 답했고 사각형을 보고는 “거울, 문, 집, 판자때기"라고 답했다.
문자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호미, 낫, 삽, 곡괭이 등을 도구라는 개념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 사고(Categorical Thinking)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한 실험이었다. 달리 말하면, 원이나 도구 등 범주화(Categorization)를 통해 구체적 사물이나 사건들을 추상화할 수 있으려면 문자사용 능력(Literacy)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물(Things)에서 단어(Words)로, 단어에서 범주(Category)로, 범주에서 은유(Metaphor)나 논리(Logic)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문자가 필요하다. 구어는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고 대기 중에 스러져 버리기 때문에 사람의 기억에 의해서만 구조화될 수 있다.
문자 없이 구어의 세계(Oral Culture)에 머물고 있는 사람들(e.g., “늑대와 춤을", “새로 발로 차", “주먹 쥐고 일어서" 등으로 호명되던 사람들)은 진실(세상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인 개별 경험(Situational Thinking)에서 찾았으나 문자의 발명 이후 사람들은 진실을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경험보다는 추상화된 문장(Abstract Reasoning)에서 찾게 된 것이다.

설형문자: 엑셀의 기원

문자가 발명되기 이전 인류는 선사시대 동굴 벽화의 Pictograph(그림문자)와 같이 구체적인 사건이나 경험에 대한 실사적 묘사를 통해 세상을 기록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다, 기원전 3,000년 경 세상살이가 복잡해지고 기록해야할 정보량이 증가하자, Pictograph는 쐐기 모양의 문자로 단순화되어 정보가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 전달될 수 있게 되었다.
설형(쐐기)문자는 정보의 효율적 입력 및 저장을 위해 인류가 최초로 고안한 Spreadsheet인 것이다.
Cuneiform(설형문자): 엑셀의 기원

문자(범주)의 탄생, 믿음의 탄생

언어를 인간의 선천적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면 문자는 인간의 발명이다. 플라톤의 대화편 중 <파이드루스(Phaedrus)>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어 문자의 발명이 사람의 기억력을 쇠락시킬 것이라고 걱정하였다.
Socrates: “For this invention(=writing) will produce forgetfulness in the minds of those who learn to use it, because they will not practice their memory. Their trust in writing, produced by external characters which are no part of themselves, will discourage the use of their own memory within them.”
우리는 비록 구비문학인 판소리 춘양가를 암송하지 못하지만, 플라톤의 우려와 달리, 문자 이전의 인류와 비교하여 엄청난 양의 정보를 개념, 범주의 형식으로 기억하고 있다. 문자를 얻은 사람들은 구체적인 개별 사건이나 경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보다는 직간접적인 개별 경험들을 추상적 개념이나 범주를 통해 기억하고, 그 위에 믿음을 형성하고, 해당 믿음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게 되었다. 본 것, 경험한 것을 믿는 것이 아니라 개념화된 것, 범주화(일반화)된 것을 믿게 된 것이다.

Data Literacy: 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보는 안목

쐐기문자는 늘어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발명이였다. 현대의 쐐기문자인 엑셀은 기억(기록)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세상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서 쓰일 수도 있다.
문자와 언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사람들의 마음(뇌) 속에 한 번 추상화된 믿음이 형성되면 해당 믿음과 어긋나는 과거의 기억은 왜곡되고 해당 믿음과 상충되는 새로운 사실들은 무시된다. 인간이 범하는 모든 인지적 오류의 아버지라 불리는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이 생겨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Literacy가 텍스트에 담긴 세상을 범주화, 일반화하여 추상적 믿음(관념)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소양이고, Numeracy 숫자를 통해 세상을 해석할 수 있는 역량이라면, Data Literacy는 세상에 대한 날것의 기록(Raw Data)에서 패턴을 찾아 세상에 대한 더 좋은(실용적인) 설명을 찾는 일이다. 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안목인 것이다.
Literacy, Numeracy, Data Literacy
Data Literacy를 통해 우리 믿음의 오류에 빛을 비추어 세상을 보다 객관적, 확률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냥의 꽃은 들소잡기”라는 오래된 믿음이 데이터를 통해 깨질 수도 있는 것이다.
Data Literacy: 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보는 안목
참고 자료
 하트카운트팀의 더 많은 아티클 보러가기
 하트카운트 사용해보기
 하트카운트 도입 상담하기
 하트카운트 뉴스레터 지난 호 보기 & 구독하기
실무자들을 위한 데이터 분석/시각화 커뮤니티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