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용된 기능
•
하나의 범주를 구성하는 개별 변수, 혹은 집단간의 상대적 차이를 비교하는 스마트 랭킹 기능
2. 분석 과정
•
탐험하기의 스마트 랭킹 기능으로 이동합니다.
•
‘성과점수_percentile’ 변수 별 순위를 확인합니다.
*percentile, bin이 무엇인가요? 수치형 변수를 범주화하기 위해 percentile은 구간이 균등하도록, bin은 구간에 속한 값들의 수가 균등하도록 수치형 변수의 범위를 쪼갭니다.
ex) 100점 만점의 시험 점수를 본 30명
- percentile은 ‘1~20점 / 21~40점 / 41~60점 / 61~80점 / 81~100점’으로 쪼개며, 각 구간에 속한 인원의 수는 다를 수 있음
- bin은 ‘점수가 가장 높은 6명 / 그 다음 높은 6명 / 그 다음 6명 / …’으로 쪼개지도록 각 구간이 설정됨
•
마우스를 올려 각 구간을 확인해 보니, 성과점수가 높은 구간일수록 짙은 보라색을 띄고 있습니다.
•
상위 20%에 속하는 가장 짙은 보라색 막대를 클릭하여, 전체적으로 해당 막대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볼까요?
성과점수가 높은 구간이 매니저의 비전과 소통 점수, 본인의 역량 관련 점수, 직원만족도 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잔업시간도 가장 많았으나, 미사용 휴가일수는 가장 적으니 휴가를 제때 잘 활용하는 인원임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3. 분석 결과 해석
•
각 상자는 이렇게 해석합니다. ‘학점’ 상자를 예시를 봅시다.
가장 위 막대는 성과점수 최하위 그룹으로 학점 평균은 80.33으로 가장 높네요.
그 다음 막대는 성과점수 최상위 그룹으로 학점 평균 79.94로 두번째로 높은 특징을 보입니다.
4. 응용
1. 직군별로 확인해 볼까요?
2. 위 모든 분석을 더 빠르게, 더 자세히! 자동으로 찾아볼까요?